미니굴삭기 단가표
017(1.7톤), 020(2톤), 030(3톤), 035(3.5톤)
임대단가 동일
현금 임대단가 (8시간기준)
(바가지)1일 600,000원 0.5일 400,000원
(뿌레카)1일 650,000원 0.5일 450,000원
(그라플)1일 700,000원 0.5일 550,000원
(크략샤)1일 750,000원 0.5일 600,000원
008(0.8톤), 010(1톤) 임대단가 동일
현금 임대단가 (8시간기준)
(바가지)1일 650,000원 0.5일 450,000원
(뿌레카)1일 650,000원 0.5일 500,000원
(크략샤)1일800,000원 0.5일 650,000원
현장조건이나 작업시간의 상황에 따라
단가조절 가능 ☞℡ 010-3244-0343
대형포크레인 임대가격
02,3w 포크레인 임대단가
(바가지)1일 600,000원 0.5일 400,000원
(뿌레카)1일 650,000원 0.5일 450,000원
|
구보다굴삭기 제원표
제원 U-17 u-20 U-30 U-56
버켓용량(m2) 0.04 0.066 0.09 0.15
차체중량(kg) 1620 1980 3490 5300
전장(mm) 3545 3845 4485 5510
전폭(cm) 99/124 130/150 155 196
전고(mm) 2250 1980 2350 2540
최저지상고(mm) 150 165 290 320
최대굴삭높이(mm) 3540 4070 4765 5630
최대덤프높이(mm) 2440 2700 3325 4000
최대굴삭깊이(mm) 2310 2320 2880 3560
최대굴삭반경(mm) 3900 4140 4965 3720
형식 D902 D1105 D1703 V2203
정격출력(㎰/rpm) 16/230 19/220 27.2/215 39.2/225
선회(rpm) 9.1 9.6 0.9 9.3
저/고속(km/h) 2.1/4.1 2.5/4.5 3.0/4.6 2.5 / 4.8
미니중기 대표 최정현 (010-3244-0343)
오늘은 현장에서 무계를 측정할때 알기쉽게 올림니다
모두보시고 활용하세요
각종재료의 단위 중량
길이,면적,체적,단위중량의 관계, 재료의 할증
길이 = m
면적 = 가로m x 세로m = m2
체적 = 가로m x 세로m x 높이m = m3
재료의 단위 중량 표준품셈에 의거함 | ||||||||||||||||||||||||||||||||||||||||||||||||||||||||||||||||||||||||||||||||||||||||||||||||||||||||||||||||||||||||||||||||||||||||||||||||||||||||||||||||||||||||||||||||||||||||||||||||||||||||||||||||||||||||||||||||||||||
재료의 단위중량은 입경(粒徑), 습윤도(濕潤度)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시험에 의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일반적인 추정단위 중량은 다음과 같다.
가. 부순돌 및 조약돌 등은 모암의 암질(岩質)에 따라 결정하여야 한다. 나. 이 표에 없는 품종에 대하여는 단위 비중시험에 의한 측정 결과치에 따르거나 문헌에 의한다. 해 설 1) 표준품셈에 표시되는 돌 재료의 분류는 다음을 표준으로 한다. (가) 모 암(母 岩) : 석산에 자연상태로 있는 암을 모암이라 한다. 2) 토질 및 암의 분류는 다음을 표준으로 한다.(나) 원 석(原 石) : 모암으로 1차 파쇄된 암석을 원석이라 한다. (다) 건설공사용 석재 : 석재의 품질은 그 용도에 적합한 강도를 갖고 균열이나 결점이 없고 질이 좋은 치밀한 것이며 풍화나 동결의 해를 받지 않은 것이라야 한다. (라) 다 듬 돌(切 石): 각석(角石) 또는 주석(柱石)과 같이 일정한 규격으로 다듬어진 것으로서 건축이나 또는 포장등에 쓰이는 돌 (마) 막 다 듬 돌(荒切石) : 다듬돌을 만들기 위하여 다듬돌의 규격치수의 가공에 필요한 여분의 치수를 가진돌. (바) 견 치 돌(間知石) : 형상은 재두각추체(裁頭角錐體)에 가깝고 전면은 거의 평면을 이루며 대략 정사각형으로서 뒷길이(控長) 접촉면의 폭(合端) 뒷면(後面)등이 규격화된 돌로서 4방락(四方落) 또는 2방락(二方落)의 것이 있으며 접촉면의 폭은 전면 1변의 길이의 1/10이상이라야 하고 접촉면의 길이는 1변의 평균길이의 1/2이상인 돌. (사) 깬 돌(割 石): 견치돌에 준한 재두방추형(裁頭方錐體)으로서 견치돌보다 치수가 불규칙하고 일반적으로 뒷면(後面)이 없는 돌로서 접촉면의 폭(合端)과 길이는 각각 전면의 1변의 평균길이의 약 1/20과 1/3이 되는 돌 (아) 깬 잡 석(雜割石) : 모암으로 일차 폭파한 원석을 깬 돌로서, 전면의 변의 평균길이는 뒷 길이의 약 2/3 되는 돌 (자) 사 석(捨 石) : 막 깬 돌 중에서 유슈에 견딜 수 있는 중량을 가진 큰 돌 (차) 잡 석(雜 石) : 지름 10~30㎝정도의 크고 작은 덩어리로 고루고루 섞여져 있으며 형상이 고르지 못한 큰돌 (카) 전 석(轉 石) : 1개의 크기가 0.5㎥이상 되는 석괴 (타) 야면석(野面石):천연석으로 표면을 가공하지 않은 것으로서 운반이 가능하고 공사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비교적 큰 석괴 (파) 호 박 돌(玉 石) : 호박형의 천연석으로서 가공하지 않은 지름 18㎝이상 크기의 돌 (하) 조 약 돌(栗 石) : 가공하지 않은 천연석으로서 지름 10㎝~20㎝ 정도 계란형의 돌 (거) 부 순 돌(碎 石) : 잡석을 지름 0.5㎝~10㎝정도의 자갈크기로 작게 깬 돌 (너) 굵은자갈(大砂利) : 가공하지 않은 천연석으로서 지름 7.5㎝~20㎝ 정도의 돌 (더) 자 갈(砂 利) : 천연석으로 자갈보다 알맹이가 작고 지름 0.5㎝~7.5㎝정도의 둥근돌 (러) 력 ( 礫 ): 천연적인 굵은 자갈과 작은 자갈이 고루고루 섞여져 있는 상태의 돌 (머) 굵은모래(粗 砂) : 천연산으로서 지름 0.25~2㎜ 정도의 알맹이의 돌 (버) 잔모래 (細 砂): 천연산으로서 지름 0.05~0.25㎜ 정도의 알맹이의 돌 (서) 돌가루 (石 粉) : 돌을 부수어 가루로 만든 것 (가) 보 통 토 사 : 보통 상태의 실토 및 점토 모래질 흙 및 이들의 혼합물로서 삽이나 괭이를 사용할 정도의 토질(삽 작업을 하기 위하여 상체를 약간 구부릴 정도)
(나) 경 질 토 사 : 견고한 모래질 흙이나 점토로서 괭이나 곡괭이를 사용할 정도의 토질(체중을 이용하여 2~3회 동작을 요할 정도) (다) 고사점토 및 자갈섞인 토사 :자갈질 흙 또는 견고한 실토, 점토 및 이들의 혼합물로서 곡괭이를 사용하여 파낼 수 있는 토질 (라) 호박돌 섞인 토사 : 호박돌 크기의 돌이 섞이고 굴착에 약간의 화약을 사용해야 할 정도로 단단한 토질 (마) 풍 화 암 : 일부는 곡괭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암질이 부식되고 균열이 1~10㎝ 정도로서 굴착 또는 절취에는 약간의 화약을 사용해야 할 암질 (바) 연 암 : 혈암, 사암 등으로서 균열이 10~30㎝ 정도로서 굴착 또는 절취에는 화약을 사용해야 하나 석축용으로서는 부적합한 암질 (사) 보 통 암 : 풍화상태는 엿볼 수 없으나 굴착 또는 절취에 화약을 사용해야 하며 균열이 30cm~50cm정도의 암질 (아) 경 암 :화강암, 안산암등으로서 굴착 또는 절취에 화약을 사용해야 하며 균열상태가 1m 이내로서 석축용으로 쓸 수 있는 암질 (자) 극 경 암 :암질이 아주 밀착된 단단한 암질 폐콘크리트의 할증
콘크리트를 잘게 부수었다면 할증을 조금 줄 것이고 콘크리트를 크게 부수었다면 할증을 50%로 볼수도 있을 것입니다. 보편적으로 20~30% 정도 주면 되지 않을까 싶네요...
콘크리트 13M3를 철거하여 25톤 덤프에 실으면 부피는 16M3정도 됩니다. 운반량은 16루베이지만 철거량은 13루베가 되는 것이지요...
1.자연상태의 콘크리트 x1.2~1.3 하시고 왈가닥이 크면 40~50% 까지도 하겠지요
2.토사의 경우 자연상태의 흙을 덤프에 상차하게 되면 흐트러진 상태가 되어 1.2를 곱해줍니다. 공극을 20% 봐주는 것이지요...
|